처음부터 하나하나 설명해줄 것. 알고 있더라도 다시 한번 정리하면서 들으면 좋다.
처음에 안다고 생각하면서 듣다가 어느순간 어려워질 수 있으니 잘 들어보면 좋다.
말씀해주신대로 아는 내용이 있더라도 그냥 블로그에 정리해보자!
우리는 웹개발을 할 것이다. 내가 APM을 ubuntu에서 할 수 있다면 그냥 해도 좋다. 어려운 분들을 위해서 가상머신을 제공한다.
OT 때 웹 개발 방식은 자유라고 했으니까, React +TypeScript를 Vite로 빌드한 다음 Docker에 올려서 배포하자.
수업듣기 전에 리눅스를 들어오라고 했는데 그 이유는 리눅스 환경에서 웹 개발을 할 것이다. 리눅스 쓰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야기 하지 않는다.
리눅스를 안해보신 분들은 기본적으로 공부해보면 좋을 것 같습당
bandit 기본적인 공부를 할 수 있는 링크
환경설정 순서
- 제공해준 가상머신 SegFault_WEBdev.ova 파일을 VirtualBox에 Import 해서 가상머신을 실행한다.
- 제공된 ID와 비밀번호로 로그인한다.
- 가상머신 내 터미널에서 ifconfig 명령어를 입력해 IP 주소를 확인한다.
- terminus 설치
- Terminus에서 New Host 클릭 → IP 주소 입력 → 포트 번호 22번 입력 → 접속 정보(ID, 비밀번호) 입력 후 저장 → 접속
- terminus는 입력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 입력하는 것.(실무에서나 모의해킹에서는 용량이 작고 간단해서 putty를 많이 쓰고, 네트워크 관리하거나 운영자분은 terminus를 많이 쓴다.)
- SFTP : SSH를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다. 가상머신에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한다.
VMware말고 Virtual Box로 해도 상관없다. 하지만 Virtual Box 쓰는 분들은 네트워크 설정 잘해야한다. 알아서 고민해보고 해결해보세요. 저는 설명하지 않을 예정입니다.
이번 기회에 말틱님이 제공해준 low-level 구조로 제대로 만들어볼까 고민했지만, 시간도 부족하고, 앞으로 내가 사용할 프로덕트에 적용하려면 실제 내 환경에서 테스트해보는 게 더 의미 있을 것 같아서 Docker와 VSCode Remote-SSH를 사용하기로 했다.
Docker를 쓰면 무겁게 가상머신을 돌릴 필요 없이,어디서든 동일한 환경을 빠르게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.
VSCode Remote-SSH는 학교에서도 과제로 많이 나온 방법인데 서버에 직접 접속해서 바로 코드 편집과 터미널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어서
작업 흐름이 훨씬 깔끔하고 효율적이다.
대체 툴 정리표
항목 | 기존 방식 | 대체 방식 (추천) |
---|---|---|
가상화 환경 | VirtualBox + Ubuntu VM | Docker |
원격 접속 (CLI) | Terminus | VSCode Remote-SSH |
파일 전송 | SFTP (Terminus 내부 기능 등) | VSCode 파일 직접 열기/저장 또는 scp /rsync |
웹 개발 환경 구성 | Ubuntu 내 직접 설정 (Node 설치 등) | Dockerfile + docker-compose |
SSH 접속 관리 | Terminus 내 수동 입력 | .ssh/config 파일 또는 VSCode UI |
텍스트 편집 | vim, nano | VSCode |
'노말틱 모의해킹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주차 코칭] 블로그 포스팅 주제 줍줍 (1) | 2025.04.10 |
---|---|
[1주차 과제 해결] 실용적이고 간단한 방안 (0) | 2025.04.10 |
[1주차 강의] 3. 동적페이지 (1) | 2025.04.09 |
[1주차 강의] 2. 웹 서버의 역할(NAT, PAT) (1) | 2025.04.08 |
[1주차 과제] 로그인 (0) | 2025.04.07 |